본문 바로가기
설계도서

물류창고&물류터미널 계획

by 건축가 한승우 2023. 7. 4.

※ 해당 게시글은 PC 화면으로 보면 글자를 줄에 맞춰서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건축가 한승우입니다.

 

너무 습하고 덥네요.

 오늘도 비가 오는데 장마 시작인가봐요..ㅜ

이번 게시글은' 물류창고&물류터미널 계획 '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물류창고를 계획하는 방식과 물류창고와 물류터미널이 어떻게 다르고 그 밖에 무엇이 있는지 알려드리고자 하는데요.

 

​건물 용도별로 어떻게 계획하면 되는지 매뉴얼(법적, 설계 기준)이 있습니다.

그 매뉴얼은 설계자만 알고 있고 잠깐이라도 그 용도의 프로젝트를 안 하면 까먹기 십상입니다.

물론 기억력이 좋은 사람도 있겠지만 저는 좋은 편이 아니라서 이렇게 포스팅으로 기록하고 여러분들께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하필 많은 건물 용도 중에 물류창고첫 계획 포스팅이 됐네요 ㅎㅎ

첫 계획 포스팅인 만큼 이번 포스팅은 더 많은 준비를 하였는데 관심 있게 봐주세요!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물류시설 Logistics facility

푸디스트 이천 물류센터 / 한국초저온 물류센터 / 쿠팡 인천4센터
푸디스트 이천 물류센터 / 한국초저온 물류센터 / 쿠팡 인천4센터
 

물류시설이란?

화물의 운송 · 보관 · 하역과 관련된 가공 · 조립 · 분류 · 수리 · 포장 · 상표 부착 · 판매·정보통신 등의 

활동을 위한 시설인 동시에 물류의 공동화 · 자동차 및 정보화를 위한 시설입니다.(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조)

물류시설에는 크게 물류창고물류터미널 2개로 나누어집니다.

한 번쯤은 고속도로에서나 버스를 탔을 때 봤을 텐데요.

일반 창고보다는 너무나 크고 일반 트럭이 아닌 대형 트럭이 들어가고 나가고를 반복하는 이 건물은 물류시설입니다.

물류시설은 건축법 시행령(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창고시설에 해당하므로 물류시설이라는 용어는 창고시설에 세분화된 말입니다.

(건축개요상 용도는 창고시설로 기재)

물류창고(Logistics Warehouse)

 

물류창고란?

화물의 저장·관리, 집화·배송 및 수급조정 등을 위한 보관시설·보관 장소 또는 이와 관련된하역ㆍ분류ㆍ포장ㆍ상표부착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을 말한다.

 

한마디로 물건을 보관 및 제고를 확인하고 배송·포장·분류하는 창고시설입니다.

물건을 보관하는 방법에는 저온(냉동·냉장)상온이 있으며 각각의 거점을 두고 들어오고 나가는 차량을 등록하여

차량 이동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대형 유통 업체의 등장으로 규모가 크고 자동화 창고를 활용하는 창고시설을 물류센터라고도 부르기도 합니다.

물류터미널(Logistics Terminal

물류터미널이란?

화물의 집화(集貨)ㆍ하역(荷役) 및 이와 관련된 분류ㆍ포장ㆍ보관ㆍ가공ㆍ조립 또는 통관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물을 말한다.

다만, 가공·조립 시설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하의 것이어야 한다.

한마디로 이동하는 대량의 물건을 한꺼번에 모아 배송업체와 도착하는 날짜를 고려하여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는 물건을 분류장에서

자동화 분류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중간에 거처 가는 대규모 창고시설입니다.

물류터미널은 지역에 해당되는 중심 거점지에 건설되고 거의 모든 택배가 이 시설을 통과하며

필요하지 않은 화물차량을 줄임으로서 원활한 교통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제 계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물류터미널과 물류창고의 구조는 거의 이루어져 있으며 같은 방법으로 설계하시면 됩니다.

기둥과 기둥의 배열(X,Y)

01

900X900 기둥(사각형)을 만들어줍니다.

PC란? PC(Precast Concrete)의 약어로 공장에서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PC공법 또는 PC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큰 하중이 가능하며 공장에서 미리 발주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PC구조는 창고시설이나 스판이 넓은 경우에만 사용하는 특수한 구조입니다.)

02

사각형(PC기둥)을 만들었으면 11m(11000mm)로 이격하여 가로(X축) 세로(Y축)로 배열해 줍니다.

11m 모듈로 배열해 주고 더 넓은 구간이 필요하면 최대 18m까지 가능하며 구조사무소와 협의하여 조율이 가능합니다.

이격한 이 구간을 스팬(SPAN)이라고 하며 보다 더 넓은 구간을 장스팬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예시)이 장스팬인 구간에는 슬라브가 내려앉을 수 있으므로 보가 추가가 돼야 합니다.

예시)이 스팬인 구간에는 발주처의 의견으로 설비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코어계획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 추후 포스팅으로 작성되어 링크가 삽입될 예정입니다 ※)

야드,버스 / 도크,파렛트랙,오버헤드도어,접안

 03

모듈로 내부 공간이 만들어지면 외부에 하역장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을 설계 용어로 야드(Yard)라고 부릅니다.

하역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차가 이동하는 주차로와 트럭이 주차하여 하역하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야드를 계획할 때는 주차로 18m가 필요하며 하역공간은 (트럭11ton기준)길이 13m로 만들면 됩니다.

(계획설계에서는 임의로 31m로 잡고 트럭제원과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29m~31m까지 가능)

(지상층 야드(용적률 산정 시 면적 제외) , 필로티나 바닥,위 층까지 벽면적 2분의 1 이상 개방돼있고

그 부분이 시민의 통행 주차에 전용되는 경우(연면적 산정 시 바닥면적 제외))

창고시설에 트럭이 짐을 실기 위해 주차하는 것을 설계용어로 '접안' ,'접안하다'라고 부릅니다.

트럭 주차공간을 설계용어로 버스(Berth)라고 하며 창고를 분양할 경우 창고면적에 차를 몇 대 주차할 수 있는 비교 분석하는 면적입니다.

04

하역장이 완성이 되면 건물의 높이를 정해야 하는데 보통 한 층에 층고10m기준으로 계획합니다.

이유는 짐을 보관하는 파렛트랙이 몇 단이 들어갈지에 따라 변동이 됩니다.(4단이면 10m/3단이면 8m 등)

그 다음층에 창고 용도로 또 하중이 실리게 되면 PC 슬라브를 설치해 줍니다.

RC 슬라브처럼 두 줄이 아닌 보강도 옹벽처럼 생긴 PC 슬라브의 단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하역장에 트럭이 짐을 적재, 하역할 때의 기능을 만들어주는데 이것을 설계용어로 도크(Dock)라고 부릅니다.

도크는 야드에서 창고와의 높이를 1.1m가 높게 설계해야 트럭이 짐을 나르고 하는데 무리가 없습니다.

하역장에 접안 한 트럭은 창고의 짐을 나르기 위하여 닫고 열리기에 적합한 오버헤드도어를 설치해 줍니다.

램프 길이 및 반경 / 지붕(PEB,철골,평슬라브)구조
 05

계획하는 창고가 2층 이상으로 하역할 때 차량이 이동하는 램프(RAMP)계획을 해야 합니다.

램프의 폭은 기둥을 제외한 10m가 필요하며 회전할 구간의 내측은 반지름 10m가 필요하며 외측은 20m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한 층이 10m니까 기울기 1/10을 적용하여 10m(높이)x1/10(기울기)=100m 램프의 길이가 필요합니다.

06

마지막으로 지붕구조를 선택해 줘야 합니다.

지붕구조는 PEB구조 , 철골조 , 평슬라브 , 보통 3개로 나누어집니다.

PEB구조는 특수구조 건축물이며 설치하는 층에는 양옆에만 기둥이 있으면 되고 중간에는 기둥이 없어도 돼서 일반창고 와는 달리

스판이 넓은 물류창고의 적합한 구조이며 공간 활용이 매우 좋습니다.

철골조는 peb구조와 달리 기둥이 있는 기둥 열에는 기둥이 있어야 하며 대신 보사이즈가 조금 작아집니다.

평슬라브는 지붕층에 구조물(코어, 옥상조경, 건물설비) 등 있어서 하중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RC,PC,DECK 등 슬라브 구조를 사용합니다.


 

위 사진과 설명처럼 물류창고를 계획하시면 됩니다 ㅎㅎ

제가 맨 처음에 설명한 거처럼 물류창고에는 상온저온으로 나누어집니다.

상온창고는 위와 같이 계획하시면 되고 저온창고를 계획할 경우에는 냉동, 냉장으로 보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도크실 / 냉동 및 저온 창고(전실공간,준비실

 

01

하역장에 트럭이 접안 후 물건을 옮길 때 내부 창고의 온도를 빼앗기지 않게 오버헤드도어 외곽라인으로

도크실“을 설치하여 내부의 온도를 빼앗기지 않게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합니다.

02

사진에서는 냉동창고 기준이며 저온(냉장, 냉동)으로 계획을 할 경우에는 지게차와 사람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온도의 간섭이 생겨

하역장과 창고 사이에 전실 공간을 추가하여 전실과 창고를 나누어 역할을 분리해 줍니다.

냉장창고에는 전실 공간만 추가해 주면 되고 위 사진과 같이

냉동창고일 경우에는 온도에 더 민감하고 일정온도가 안되면 상품이 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실과 창고 사이에 준비실 공간을 추가하여 창고의 공간을 완벽하게 밀폐해 줍니다.

저온창고를 계획할 경우 실내 보관하는 창고를 들어가는 출입문은 방열 도어를 설치해 줍니다.


 

물류창고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관련된 계획을 하실 경우에는 매뉴얼대로 한번 따라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참고용 도면으로 제가 간단하게 계획한 물류창고 평면도와 단면도를 공유해 드립니다.

(도면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기 바랍니다.)

 

매뉴얼을 적용하게 되면 제가 만든 도면과 비슷하게 계획&재현하실 수 있습니다.

첨부된 사진과 도면을 구글 드라이브로 링크를 걸어 공유했습니다.

포스팅으로 올려보니 해상도가 안좋네요..

(해당 모든 자료는 무단 배포를 금지하며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물류창고&터미널 계획(참고용).dwg

 

drive.google.com

물류창고의 관한 법률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 물류정책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www.nlic.go.kr


제가 준비한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제가 건축사사무소에서 처음 경험해 본 건축설계가 물류창고였습니다.

현재는 물류창고는 안 하고 있고 다른 용도를 계획을 하고 있어서 기억이 잘 안 나 찾아보고 작성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네요 ㅜ

그리고 저는 기억력이 별로 안 좋아서 노트에 적는 습관이 있는데 이렇게 블로그에 올리면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여러분들께

소개해 드릴 수도 있고 일석이조네요 ㅎㅎ.

긴 글과 많은 사진들 봐주셔서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계획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게시글을 계속 작성할 예정입니다.

궁금하신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설계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설계란?  (0) 2023.08.22
코리빙 하우스(임대형 기숙사)  (8) 2023.06.19